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통수요예측의 영향권 및 교통존 설정

by JimSeung80 2024. 2. 16.

 

1. 교통수요 시간적 범위

  1) 분석기간

  • 설계 및 시공기간 등 사업계획 기간과 개통 후 30년 포함
  • 단, 철도사업은 개통 후 40년

 

  2) 분석 기준시점

  • 초기 분석연도 : 공용개시연도
  • 중간 분석연도 : 국가교통 DB 5년 단위 구축 기초자료의 분석연도
  • 최종 분석연도 : 국가교통DB 최종 장래연도
  • 추가 분석연도 : 교통패턴에 중요한 변화가 있는 경우

 

2. 교통수요 공간적 범위

 1) 영향권 설정 일반기준

  • 대규모 교통사업의 경우 원칙적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설정
  • 이 경우 통행배정 시 수요 및 편익 산정을 위한 적절한 모형 수렴기준 만족시켜 분석 수행

 

 2) 영향권 구분

  • 합리적 영향권 설정을 위해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으로 구분
  • 직접영향권 : 사업시행 효과를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상세한 O/D 및 Network 구축
  • 간접영향권 : 사업시행으로 인한 통행패턴 변화 발생 지역으로 편익산정의 범위에 포함
구분 대상지역 산정방법
직접영향권 사업지역과 인접하고 사업노선을 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 대상구간 Select Link 분석을 통해 해당노선 이용률 높은 지역
간접영향권 편익 산정 포함 지역 PV, RV, DV

 

 3) 직접영향권 설정시점

  • 현황정산 이전 1차 설정, 장래 개발계획 반영 후 최종 결정

 

 4) 영향권 설정기준

  ① 도로부문

  • 원칙적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설정
  • 도로 일부 개설 및 개량과 같은 국지적인 사업에 대하여 PV, DV, RV 등을 기준으로 직·간접 영향권 설정

     - PV : O/D 기준 통행량 비율, 총발생량의 일정 수준 이상 지역

     - DV : 구간교통량 변화량, 구간교통량의 변화폭이 일정수준 이상 지역

     - RV : 구간교통량 변화율, 구간교통량의 변화폭 3% 이상 구간 포함 지역

 

 

  ② 철도부문

  • 철도의 사업효과는 대부분 도로에서 전환된 수요에 의해 발생
  • 사업시행 전·후의 도로교통량 변화에 의해 설정
  • 사업시행 전·후 수단분담율 산정 → 사업시행 전·후 도로통행 배정  도로교통량 변화율(RV) 이용하여 영향권 판단

3. 교통 존 (Traffic Zone)

 1) 개요

  • 교통존 정의 : 승객, 화물의 이동과 흐름을 분석하고 추정하기 위해 설정한 단위공간
  • 사회/경제적 특성 및 교통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설정

 

 2) 교통 존 설정기준

  • 가급적 동질의 토지이용
  • 가급적 행정구역과 일치
  • 가급적 간선도로와 존 경계선과 일치
  • 존 규모는 소규모 도시 1,000~3,000명, 대도시 5,000~10,000명 포함

 

 3) 지구분할 3대 원칙

  • 교통존은 균일한 무게를 가져야 함
  • 교통존은 단일 센트로이드를 가져야 함
  • 교통존은 원형에 가깝게

 

 4) 교통 존 크기에 따른 장·단점

구분 존이 클 경우 존이 작을 경우
장점 조사비용과 분석시간 축소 가능 상세하고 정밀한 자료수집 가능
단점 조사의 정밀도 저하

Centroid Connector 연결 문제 증가
조사 및 분석 비용 증가

통행수(표본)이 적어 표본오차 증가

 

 

 5) 국가교통DB 교통 존 분류 기준

  • 사회경제지표 및 교통자료 수집이 용이하도록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구분
  • 행정구역 변동이 있는 경우 존 수와 경계는 변경 가능
구분 대 존 중 존 소 존
목적 교통지구를 거시적으로 파악 자역별, 지역간 유동현황 파악 조사목적에 적합하도록 세분화한 존
기준 특별시, 광역시, 도, 특별자치도·시 시, 군, 구 읍, 면, 동
존 수 17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