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요의 정의
교통수요는 교통시설이나 교통서비스로 구성된 교통체계를 이용하는 규모로서 통행량으로 표현되며, 교통시설의 공급전략과 토지이용계획을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요소임
교통수요예측은 교통계획 수립 시 사전에 장래 발생할 교통수요를 현재의 시점에서 예측하는 작업으로 현재 교통체계의 통행행태를 반영하여 장래 제반 사항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예측하므로 장래의 급격하고 세부적인 변화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교통수요예측 모형의 분류
1. 개략적 교통수요추정 기법
1) 과거추세 연장법
- 과거 연도별 교통수요 실적을 이용하여 목표연도의 수요를 예측하는 기법
2) 수요탄력성법
- 교통체계나 교통시설의 변화에 따른 교통수요의 민감도를 이용하는 기법
2. 통합모형
- 4단계 교통수요예측 과정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예측
- 통행발생-수단분담 통합모형, 통행분포-수단분담 통합모형, 통행분포-통행배정 통합모향, 직접수요 모형 등
※ 직접수요모형
- 통합모형의 일종, 통행배정 과정을 제외한 통행발생, 통행분포, 수단분담 과정을 하나의 계량 경제모형을 이용하여 통합한 모형
- 통행의 발생 및 목적지, 수단, 노선, 등을 단일식을 이용하여 동시적으로 예측하는 교통수요 모형
3. 활동기반모형 (활동중심모형)
- 4단계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시도되고 있는 방법
- 활동과 활동에 의해 파생된 통행을 주어진 시간, 교통수단, 교통망 및 기타 조건에 따라 개인 또는 가구단위의 특성 분석
- 모형구축에 상당한 수준의 자료와 시간 필요, 모형정산에 대한 정확한 방법론 없음
4. 개별행태모형
- 단기간 내 저비용으로 단기수요, 단기교통정책 평가를 위한 모형
- 기존의 존별 집계 자료를 이용하지 않는 수요 추정 방식
- 판별 분석법, 로짓모형, 회귀분석법, 프로핏모형 등
5. 4단계 교통수요 모형
- 가정 일반적인 방법, 각 단계별 결과 검증으로 현실 묘사 가능
- 통행자의 의사결정이 순차적으로 선택과정을 거쳐 일어난다는 가정하에 예측
- "통행발생→통행분포→수단분담(수단선택)→통행배정"의 4단계
구분 | 모형 | |
1단계 | 통행발생 (Trip Generation) |
- 원단위법, 카테고리 분석법, 증감률법, 회귀분석법 |
2단계 | 통행분포 (Trip Distribution) |
- 성장률법(균일·평균 성장률법, Frata, Detroit) - 중력모형, 간섭기회모형, 엔트로피극대화 모형 |
3단계 | 수단분담 (Modal Split) |
- 통행단모형, 통행교차로모형 - 확률선택모형(이항·다항·네스티드 로짓모형, 최우추정법) |
4단계 | 통행배정 (Trip Assignment) |
- 정태적 모형 : All-or-Nothing, 용량배정법 - 동태적 모형 : 확률적 다이내믹 모형, 이용자 평형 다이내믹 모형 |
4단계 수요추정의 기본가정 및 장단점
1. 기본가정
- 통행발생→통행분포→수단분담(수단선택)→통행배정 단계를 순차적으로 추정
- 수요추정 함수의 독립변수는 대안별 평균 서비스 수준과 존별 평균 사회경제지표 이용
- 교통수단 존재 여부는 무시하고 각 존 간 고정된 통행비용을 가정하고 교차 통행량 추정
2. 장·단점
장 점 | 단 점 |
· 각 단계별 검증 용이(현실묘사 가능) · 단계별 적절한 모형 선택 가능 · 장기적, 대규모 사업 분석에 유용 · 교통패턴 변화가 적은 사업에 유용 |
· 개별적, 형태적 측면 무시, 계획가의 주관적 개입 · 시·공간 전이성 부족, 추정 시 경직성 · 방대한 조사비용과 시간 필요 · 단기적, 서비스 지향적 사업에 적용 곤란 |